사랑을 하는 모든이에게 -
"너, 안 특별해. 오해는 마라. 특별하지 않다는 게 아프지 않단 뜻은 아니니까.
당근 아프지. 근데 말이지. ‘결별 통증 등급에 관한 ISO 인증기준’ 같은 거 없거든.
그래 저마다 제 고통만은 각별하다 맘 놓고 믿곤 하지.
허나 설사 인류가 미터법을 발명치 못했다 해도 인간 신장이 3미터 넘지 못한단 사실이 변하는 건 아니거든.
마찬가지야.
그대 이별 통증, 유사 이래 수없는 이들이 겪어낸 정도를 결코, 벗어나지 않는다. 안 특별해. 하나도."
안 특별하다니까 실망스럽나. 특별했으면 좋겠나.
그 경험에서 유일하게 특별한 건, 그대 통증이 아니라
그런 경험을 그대 인생에서는, 처음 겪는다는 사실 하나야.
그러니까 다른 사람과 다른 게 아니라 자신의 이전 경험과 다를 뿐이라고.
살며 그런 경험 한 번 없는 사람 있다면 오히려
그 사람이야말로 특별 케이스라 봐야지.
그러니 이 사건을 통해 배워둬야 할 건,
난 왜 특별한가 따위가 아니라 이별, 그 자체야.
왜냐. 당신 통증은 누구나 그렇듯 시간이 해결해줄 게야.
하지만 아무도 이별을 훈련시켜 주진 않거든.
근데 우리 모두는 계속해 헤어지거든.
게다가 잘 헤어지는 건 잘 만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거든.
시작이 우연과 충동의 지배를 받는다면, 이별은 의지고 결심이거든.
시작은 열정으로 족하나 끝은 지혜가 필요하거든.
그러니 지금부터 엉아가 하는 말, 잘 기억해두라고.
첫째, 탯줄 끊어지는 최초의 그 순간부터, 이별은 삶의 본질이야. 세상만사, 다 제 나름의 생명이 있는 거거든.
관계라고 예외일 순 없어요. 이별은 자연의 일부라고. 만남은 좋은 거고 이별은 나쁜 게 아냐.
만남과 이별은 하나의 뫼비우스야. 만나면 헤어지고, 헤어져야 만나는 거야. 그게 만물의 이치야.
둘째, 그러니 헤어질 걸 두려워 말고 만나는 동안 다 누리지 못할 걸 두려워해야 해.
이별보다 두려워할 건 쏟지 못한 애정을 남기는 거라고. 그건 고스란히 비탄이 되거든.
그러니 매일매일 가진 걸 남김없이 다 줘. 그렇게 좋은 이별은 오히려 매일의 사랑을 먹고 자란다고.
이 말을 이해할 즈음이면 대개 누군가와 결혼해버린 후란 게 문제지만.

이별은 쉽다거나, 이별을 자주 하란 게 아냐. 이별은 그저 자신을 필요로 했던 특정인 하나가 사라진 게 아니라
자신에 대한 필요 자체가 순간적으로 우주에서 사라진 것처럼 느끼게 만들지. 쉬울 리가 없지.
하지만 그런 상실감 없인, 그게 채워지는 충만감도 없는 거야.
이별을 슬퍼하고 아파하되 부정하거나 외면하지 말지니
그 흉터에서만 다시 움틀 수 있는 게 바로 어른의 사랑이니라.

from, 이별, 그리고 ‘빤스 고무줄’ [매거진 esc] 김어준의 그까이꺼 아나토미 "1. 그녀와의 이별을 받아들일 수 없어요"
당근 아프지. 근데 말이지. ‘결별 통증 등급에 관한 ISO 인증기준’ 같은 거 없거든.
그래 저마다 제 고통만은 각별하다 맘 놓고 믿곤 하지.
허나 설사 인류가 미터법을 발명치 못했다 해도 인간 신장이 3미터 넘지 못한단 사실이 변하는 건 아니거든.
마찬가지야.
그대 이별 통증, 유사 이래 수없는 이들이 겪어낸 정도를 결코, 벗어나지 않는다. 안 특별해. 하나도."
안 특별하다니까 실망스럽나. 특별했으면 좋겠나.
그 경험에서 유일하게 특별한 건, 그대 통증이 아니라
그런 경험을 그대 인생에서는, 처음 겪는다는 사실 하나야.
그러니까 다른 사람과 다른 게 아니라 자신의 이전 경험과 다를 뿐이라고.
살며 그런 경험 한 번 없는 사람 있다면 오히려
그 사람이야말로 특별 케이스라 봐야지.
그러니 이 사건을 통해 배워둬야 할 건,
난 왜 특별한가 따위가 아니라 이별, 그 자체야.
왜냐. 당신 통증은 누구나 그렇듯 시간이 해결해줄 게야.
하지만 아무도 이별을 훈련시켜 주진 않거든.
근데 우리 모두는 계속해 헤어지거든.
게다가 잘 헤어지는 건 잘 만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거든.
시작이 우연과 충동의 지배를 받는다면, 이별은 의지고 결심이거든.
시작은 열정으로 족하나 끝은 지혜가 필요하거든.
그러니 지금부터 엉아가 하는 말, 잘 기억해두라고.
관계라고 예외일 순 없어요. 이별은 자연의 일부라고. 만남은 좋은 거고 이별은 나쁜 게 아냐.
만남과 이별은 하나의 뫼비우스야. 만나면 헤어지고, 헤어져야 만나는 거야. 그게 만물의 이치야.
둘째, 그러니 헤어질 걸 두려워 말고 만나는 동안 다 누리지 못할 걸 두려워해야 해.
이별보다 두려워할 건 쏟지 못한 애정을 남기는 거라고. 그건 고스란히 비탄이 되거든.
그러니 매일매일 가진 걸 남김없이 다 줘. 그렇게 좋은 이별은 오히려 매일의 사랑을 먹고 자란다고.
이 말을 이해할 즈음이면 대개 누군가와 결혼해버린 후란 게 문제지만.
셋째, 세상에서 가장 나쁜 이별은 혼자 남은 이별도, 너무 일찍 한 이별도, 반복되는 이별도, 충동적인 이별도 아냐.
세상에서 가장 나쁜 이별은, 이미 진즉에 했어야 마땅함에도 아직도 못 한 이별이야.
제 사랑만은 특별하단 유아적 집착과 자기애 그리고 혼자된단 공포와 본전의식 덕에 유지되는 블랙 판타지지.
그러나 가장 슬픈 이별도 나쁜 지속보다는 낫다.
자신에 대한 필요 자체가 순간적으로 우주에서 사라진 것처럼 느끼게 만들지. 쉬울 리가 없지.
하지만 그런 상실감 없인, 그게 채워지는 충만감도 없는 거야.
이별을 슬퍼하고 아파하되 부정하거나 외면하지 말지니
그 흉터에서만 다시 움틀 수 있는 게 바로 어른의 사랑이니라.
........
어떤이유로, 혹은 어떻게-그의 글을 읽게 되었는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frank한 그의 말투와 conventional wisdom아니겠냐-싶지만. 아마 이말에 위안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 역시 있을테니까.
살짝 웃은건, 세상엔 이런 말을 해주는것이 직업인 사람도 있군요.
결론은 처음부터...
어떤이유로, 혹은 어떻게-그의 글을 읽게 되었는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frank한 그의 말투와 conventional wisdom아니겠냐-싶지만. 아마 이말에 위안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 역시 있을테니까.
살짝 웃은건, 세상엔 이런 말을 해주는것이 직업인 사람도 있군요.
결론은 처음부터...
from, 이별, 그리고 ‘빤스 고무줄’ [매거진 esc] 김어준의 그까이꺼 아나토미 "1. 그녀와의 이별을 받아들일 수 없어요"
'비밀의정원 > 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그대는. (19) | 2010.04.27 |
---|---|
마법의 리스트 (8) | 2010.04.03 |
크리스마스: 내가 곁에 있잖아요, (18) | 2009.12.25 |
사랑에 관하여: "세상에서 가장 나쁜 이별" (4) | 2009.12.23 |
티스토리에서 내게 주는 2009년의 첫 선물. (20) | 2009.12.01 |
그대는 지금 어느 세상을 살고 계신지요? (6) | 2009.05.01 |
Kids Learn Fast ("빨리 배우는 아이들" 유머) (10) | 2008.10.11 |
오... 와 닿는 말들이 많은데.
잘 읽고 갑니다^^
끄덕끄덕.
되게 당연한 말들인데도, 또 저리 써놔서 그런가 - 되게 와닿는다랄까.
엔하늘님(왠일이니) 행복한 연말연시 맞이하시기를..
자자자... 처음부터 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될 수 있으면 초등학교부터 시작하는 방법을... ㅎㅎ
그러게 말입니다.
만약 그때부터 이별하는 방법을 제시하신다면,
이 글을 쓰시는 분- 제게서 톡톡히 존경을 받으실지도.